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92 공무원 근속승진 마. 근속승진(행정기관의 조직과 정원에 관한 통칙 제26조 제2항, 임용령 제35조의4, 공무원임용규칙 제3장) (1) 대상계급 및 근속승진 기간(임용령 제35조의4 제1항~제3항) ○ 7급 : 11년 이상 / 8급 : 7년 이상 / 9급 : 5년 이상 ※ ‘17. 1 공무원임용령 개정 (2) 기본운영원칙 ○ 근속승진은 승진후보자명부 작성 단위기관별로 운영 ○ 「직제상」 정원표에 상위계급의 정원이 없는 경우에도 근속승진기간을 초과하는 인원수 만큼 상위계급에 결원이 발생된 것으로 간주 ○ 6급 근속승진은 7급 11년이상 재직자 중 매년 1회 성과우수자 30%를 근속승진 ※ 6급 근속승진 인원범위 20% → 30%로 확대(’16.6.25 공무원임용령 시행) (3) 방법 및 절차 ○ 인사.. 2019. 10. 22. 보라카이 화이트 비치에서 물고기 모아 스노쿨링하는 법(빵 필요없음) https://youtu.be/LGXoAvCrwww 발로 살살 모레를 파면 물고기들이 많이 모입니다. 그러면 재빨리 업드려서 보시면 되죠. 2019. 10. 10. 지방공무원 성과상여금 1. 지급시기 및 지급액 가. 성과상여금 지급을 위한 평가는 연 1회 이상으로 한다.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해당기관의 업무와 구성원의 특성, 조직의 성과향상 및 구성원의 동기부여 효과 등을 고려하여 평가횟수를 정한다. 나. 연 1회 평가하는 경우는 전년도 12월 31일 현재를 지급기준일로 하여 이전 1년간(1.1.~12.31.)의 성과를 평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1) 다만,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종전의 성과상여금 평가대상기간, 기관의 성과평가 주기 등을 감안하여 필요한 경우 평가대상기간과 지급기준일을 달리 정할 수 있다. 2) 연 2회 평가하는 경우의 지급기준일은 각 평가대상기간의 마지막 날로 한다. (예시)’17년도 하반기와 ’18년도 상반기로 나누어 2회 평가하는 경우 첫 번째 성과상여금 지.. 2019. 3. 16. 공무원 승진 기간(인사혁신처 통계) 2.4 승진소요연수○’18년 현재 5급 사무관이 9급 공무원으로 입직한 경우, 5급으로 승진하기까지 평균 24.4년 소요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13년 25.2년 대비 0.8년 단축됨 (단위 : 연)첫계급현계급2013년2018년5급7급9급5급7급9급고위공무원21.228.2 32.9 21.527.133.34급9.222.1 30.6 9.522.229.55급 14.6 25.2 14.124.47급 11.7 11.4 ○국가공무원의 경우 ’13년 대비 큰 차이가 없으나, 지방공무원의 경우 전반적으로 약간 단축된 것으로 나타남* 국가 : 고위공무원 0.4년(2.7년→3.1년), 6급 0.7년(7.7년→8.4년) 증가* 지방 : 2급 0.9년(5.8년→4.9년), 3급 0.9년(6.5년 → 5.7년), 4급 1.4년(.. 2019. 3. 14. 이전 1 ··· 120 121 122 123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