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무원 규정

지방공무원 가점 평정규칙(승진시 자격증, 외국어점수 기준)

by 삶의시인 2022. 7. 3.
728x90
반응형

지방공무원 평정규칙

 

   제4절 가산점평정 <개정 2013. 1. 18.>

제22조 삭제 <1996. 12. 31.>

 제23조(자격증 등의 가산점) ① 임용권자는 5급 이하 공무원ㆍ연구사 및 지도사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격증 또는 검정시험 합격확인서 등(이하 “자격증등”이라 한다)을 소지한 경우에는  제32조제2항  연구ㆍ지도직규정 제14조제2항에 따라 가산점을 줄 수 있다. <개정 2020. 9. 10.>

1. 「자격기본법」 제12조에 따른 국가자격증 및 같은 법 제23조에 따른 공인자격증 중 임용권자가 직무수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인정하여 지정하는 자격증

2. 외국에서 취득한 자격증 중 임용권자가 제1호에 따른 자격증과 동일하거나 동등하다고 인정하는 자격증

3. 그 밖에 임용권자가 직무수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인정하여 지정하는 자격증 또는 검정시험 합격확인서 등

② 삭제 <2020. 9. 10.>

③ 제1항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격증등(제1호, 제2호 및 제5호의 경우에는 해당 자격증 종목의 하위 등급 자격증을 포함한다)을 소지한 경우에는 가산점을 줄 수 없다. <개정 2020. 9. 10., 2022. 1. 4.>

1. 「지방공무원법」 제27조제2항제2호에 따른 자격증 소지자로서  제55조제1항제1호에 따라 경력경쟁임용시험의 필기시험을 실시하지 아니하고 임용된 사람의 해당 자격증

2.  제17조제1항제3호 후단에 따른 지방자치단체의 규칙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자격증 소지를 의무화하는 특수직급의 신규임용시험 또는 전직시험에 응시하여 임용된 사람의 해당 자격증

3. 공무원으로 재직함으로써 시험과목의 전부를 면제받거나 자동적으로 취득한 자격증

4. 유효기간이 지난 자격증등

5. 승진임용 시 이미 가산점이 반영된 자격증등

④ 가산점을 줄 수 있는 자격증등이 둘 이상인 경우에는 그 중 가산점이 높은 하나에 대해서만 가산점을 줄 수 있다.

⑤ 삭제 <2020. 9. 10.>

⑥ 삭제 <2020. 9. 10.>

[전문개정 2016. 5. 19.]

 

 

서울특별시 인사규칙(가점평정 관련)- 지역별 인사규칙을 찾아서 적용되는 것을 확인하세요.

 

  제5절 평정

     제45조(자격증 등의 가점) ① 「지방공무원 평정규칙」(이하 "평정규칙"이라 한다) 제23조제2항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규칙으로 정하는 자격증의 종류와 등급별 가점은 별표 23과 같다.<개정 2019.10.10>

    ② 평정규칙 제23조제2항에 따라 규칙으로 정하는 언어능력검정시험의 종류와 성적 및 평정점은 별표 24와 같다. <개정 2019.10.10>

    ③ 시장은 5급 이하 공무원이 제46조에 따라 획득하는 실적가점을 평정규칙 제25조의2제1항의 실적가점으로 반영한다. <신설 2011.8.25., 2015.5.28>

    ④ 그 밖에 실적가점 부여요건 및 기준 등 필요한 사항은 시장이 따로 정한다. <신설 2011.8.25>

    반응형

     

     

    [별표 23] <개정 2019.10.31.>

     

    일반직공무원의 가점대상 자격증 종류와 가점(45조제1항 관련)

    1. 일반직공무원

    . 5급부터 9급까지

    계급
    직렬
    5 6급ㆍ7 8급ㆍ9
    행정,
    세무,
    사회복지
    변호사, 공인회계사, 관세사, 세무사, 변리사, 감정평가사, 공인노무사, 경영ㆍ기술지도사(지도사 자격시험 합격자에 한함)    
    행 정   사회복지사 1 사회복지사 2
    전 산 기술사(정보관리, 전자계산조직응용, 전자계산기, 정보통신)



    기사(정보처리, 전자계산기조직응용, 전자계산기, 정보통신)



    산업기사(정보처리, 정보기술, 전자계산기조직응용, 전자계산기, 정보통신, 사무자동화, 멀티미디어 콘텐츠제작전문가)
    공 업
    (기 계)
    기술사(기계제작, 공조냉동기계, 철도차량, 차량, 건설기계, 기계공정설계, 용접, 금형, 산업기계, 유체기계, 전기응용, 공업계측제어, 전자응용, 전자계산기, 정보통신, 항공기관, 항공기체, 기계안전, 공장관리, 소방, 품질관리, 선박설계, 소음진동, 선박건조, 선박기계), 운송용조종사



















    기사[일반기계, 메카트로닉스, 공조냉동기계, 철도차량, 자동차정비, 자동차검사, 건설기계설비, 건설기계정비, 기계공정설계, 치공구설계, 정밀측정, 용접, 프레스금형설계, 사출금형설계, 농업기계, 전기, 전기공사, 공업계측제어, 전자, 전자계산기, 정보통신, 전파통신, 전파전자, 무선통신, 항공, 열관리, 산업안전, 공정관리, 소방설비(기계분야), 품질관리, 조선, 선박기계, 반도체설계, 무선설비, 방송통신, 교통), 설비보전, 궤도장비정비
    기능장(기계가공, 에너지관리, 철도차량정비, 자동차정비, 건설기계정비, 용접, 금형제작, 기계정비, 판금제관, 배관, 전기공사, 전기기기, 전자기기, 통신설비, 항공정비, 가스) 사업용조종사, 항공사, 항공기관사, 항공정비사, 항공교통관제사, 자가용조종사, 항공공장정비사
    산업기사[윤활관리, 생산기계, 전산응용가공, 기계가공조립, 메카트로닉스, 생산자동화, 기계설계, 공조냉동기계, 에너지관리, 철도차량, 철도동력차기관정비, 철도동력차전기정비, 객화차정비, 열차조작, 자동차정비, 자동차검사, 건설기계설비, 건설기계정비, 치공구 설계, 정밀측정, 계량기계, 계량전기, 계량물리, 용접, 프레스금형, 사출금형, 기계정비, 판금, 제관, 농업기계, 배관설비, 전기, 전기공사, 전기기기, 공업계측제어, 전자, 전자계산기, 전자회로설계, 디지털제어, 정보통신, 전파통신, 전파전자, 무선설비, 방송통신, 무선통신, 항공, 열관리, 산업안전, 공정관리, 소방설비(기계분야), 품질관리, 영사, 교통, 조선, 생산기계, 전자부품장착(SMT)
    공 업
    (전 기)
    기술사(발송배전, 건축전기설비, 전기응용, 철도신호, 전기철도, 전기안전, 소방설비, 품질관리, 공업계측제어, 전자응용, 전자계산기, 전자계산조직응용, 원자력발전, 핵연료, 방사선관리) 방사선취급감독자, 방사성동위원소취급자(특수), 원자로조종감독자, 핵연료물질취급감독자, 원자로조종사 기사[전기, 전기공사, 철도신호, 전기철도, 산업안전, 품질관리, 소방설비(전기분야), 승강기, 공업계측제어, 전자, 전자계산기, 반도체설계, 전자계산기조직응용, 원자력, 열관리]
    기능장(전기공사, 전기기기, 전자기기)
    방사성동위원소취급자(일반), 핵연료물질취급자
    산업기사[전기, 전기공사, 전기기기, 철도신호, 산업안전, 전기철도, 소방설비(전기분야), 품질관리, 승강기, 공업계측제어, 전자, 전자계산기, 반전자회로설계, 디지털제어, 전자계산기조직응용, 열관리]





    공 업
    (화 공)
    기술사(화공, 공업화학, 화학장치설비, 화학공장설계, 세라믹, 고분자제품, 화공안전, 가스, 식품, 품질관리) 기사(공업화학, 화약류제조, 화공, 세라믹, 산업안전, 가스, 식품, 품질관리, 화학분석)
    기능장(위험물관리, 가스)
    산업기사(공업화학, 화약류제조, 세라믹, 고분자제품제조, 위험물관리, 산업안전, 가스, 식품, 품질관리, 화공)
    농 업
    (농 업)
    기술사(종자, 시설원예, 농화학, 식품, 생사)



    기사(종자, 시설원예, 식물보호, 농화학, 식품, 생물공학, 유기농업)
    생산기사 2(1999327일 이전에 취득한 것에 한함)
    산업기사(종자, 시설원예, 식물보호, 식품, 유기농업)



    농 업
    (축 산)
    기술사(축산, 식품), 수의사 기사(축산, 식품) 산업기사(축산, 식품)
    가축인공수정사
    녹 지 기술사(종자, 산림, 임산가공, 농화학, 조경, 시설원예)



    기사(종자, 산림(산림경영, 산림공학), 임업종묘, 식물보호, 임산가공, 농화학, 조경, 시설원예, 화훼장식)
    기능장(산림)
    산업기사(종자, 산림, 산림경영, 산림공학, 임업종묘, 식물보호, 임산가공, 조경)

    수 의 수의사    
    보 건 기술사(산업위생관리, 식품, 대기관리, 수질관리, 소음진동, 폐기물처리, 방사선관리, 축산, 수산제조, 품질관리, 포장)
    방사성동위원소취급자(특수), 방사선취급감독자,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수의사, 약사, 한약사



    기사(산업위생관리, 식품, 대기환경, 수질환경, 소음진동, 폐기물처리, 임상심리사 1, 응급구조사 1, 축산, 수산제조, 품질관리, 포장), 의무기록사, 방사성동위원소취급자(일반), 영양사,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물리치료사, 치과기공사, 치과위생사, 간호사, 조산사, 작업치료사, 위생사 산업기사(산업위생관리, 식품, 대기환경, 수질환경, 소음진동, 폐기물처리, 임상심리사 2, 응급구조사 2, 축산, 수산제조, 품질관리, 포장)







    의료기술 기술사(방사선관리), 방사성동위원소취급자(특수), 방사선취급감독자,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약사, 한약사

    방사성동위원소취급자(일반), 임상병리사, 의무기록사, 방사선사, 물리치료사, 치과 기공사, 치과위생사, 작업치료사, 간호사
    기사(응급구조사 1, 의지ㆍ보조기)
    산업기사(응급구조사 2)







    의 무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약 무 약사, 한의사, 한약사    
    간 호   전문간호사, 조산사, 사회복지사 1,
    정신보건전문요원(정신보건간호사1, 정신건강간호사1)
    사회복지사 2,
    정신보건전문요원(정신보건간호사2, 정신건강간호사2)
    환 경 기술사(대기관리, 수질관리, 소음진동, 폐기물처리, 화공, 공업화학, 화학장치설비, 화학공장설계, 토질 및 기초, 토목품질시험, 토목구조, 수자원개발, 상하수도, 토목시공, 고분자제품, 조경, 산림, 농화학, 해양, 화공안전, 산업위생관리, 지질 및 지반, 기상예보, 자연환경관리, 토양환경)
    의사, 약사, 수의사
    기사(대기환경, 수질환경, 소음진동, 폐기물처리, 화공, 공업화학, 건설재료시험, 토목, 조경, 산림(산림경영, 산림공학), 해양환경, 농화학, 산업위생관리, 응용지질, 기상, 자연생태복원, 토양환경)
    기능장(산림)
    위생사



    산업기사(대기환경, 수질환경, 소음진동, 폐기물처리, 화공, 공업화학, 건설재료시험, 토목, 조경, 산림, 산림경영, 산림공학, 해양조사, 산업위생관리, 자연생태복원)







    시 설
    (토목)
    기술사(토질 및 기초, 토목품질시험, 토목구조, 항만 및 해안,도로 및 공항, 철도, 수자원개발, 상하수도, 농어업토목, 토목시공,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 도시계획, 조경, 지적, 건설안전, 지질 및 지반, 교통) 기사(건설재료시험, 철도토목, 토목,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 도시계획, 조경, 지적, 건설안전, 응용지질, 교통, 콘크리트)



    산업기사(건설재료시험, 철도토목, 토목,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 조경, 지적, 건설안전, 교통, 콘크리트)





    시 설
    (건 축)
    기술사(건축구조, 건축기계설비, 건축시공, 건축품질시험, 건축전기설비, 건설안전, 소방설비, 소방) 건축사 기사(건축설비, 건축, 실내건축, 건설안전, 소방설비)
    기능장(건축일반시공, 건축목재시공)

    산업기사(건축설비, 건축일반시공, 건축, 조적, 건축목공, 목재창호, 실내건축, 건설안전, 소방설비)

    시 설
    (지 적)
    기술사(지적,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

    기사(지적, 측량 및 지형공간 정보)

    산업기사(지적, 지적기능,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
    방송통신
    (통신기술)
    기술사(정보통신, 전자계산기, 전자응용)



    기사(정보통신, 무선통신, 전자, 무선설비, 방송통신, 정보처리, 전자계산기, 전파통신, 전파전자)
    기능장(전자기기, 통신설비)
    산업기사(정보통신, 통신선로, 사무자동화, 무선통신, 방송통신, 전자, 정보처리, 정보기술, 무선설비, 방송통신, 전파전자, 전자계산기, 전파통신)
    위생   기술사(식품, 축산, 수산제조, 품질관리, 포장)
    기사(식품, 축산, 수산제조, 품질관리, 포장)
    위생사, 영양사, 오물처리사 1
    산업기사(식품, 축산, 수산제조, 품질관리, 포장)
    오물처리사 2
    시설관리
    (시설관리)
      기능장(전기)
    기사(전기, 전기공사, 토목, 건축설비,건축, 소방설비<전기분야, 기계분야>, 조경)
    산업기사(전기, 전기공사, 기계정비, 토목, 건축설비, 건축, 소방설비<전기분야, 기계분야>, 조경)
    기능사(전기, 기계정비, 조경)
    시설관리
    (기계시설)
    기술사(기계, 공조냉동기계, 차량, 건설기계, 용접, 산업기계설비, 기계안전, 품질관리, 소방) 기능장(기계가공, 에너지관리, 자동차정비, 건설기계정비, 용접, 배관)
    기사(일반기계, 공조냉동기계, 자동차정비, 건설기계정비, 기계설계, 용접, 산업안전, 품질경영, 승강기, 소방설비<기계분야>)
    산업기사(기계가공조립, 기계설계, 공조냉동기계, 자동차정비, 건설기계 설비, 용접, 기계정비, 배관, 산업안전, 품질경영, 승강기, 소방설비<기계분야>)
    기능사(기계가공조립, 공조냉동기계, 자동차정비, 자동차차체수리, 건설기계정비, 용접, 특수용접, 금형, 기계정비, 배관, 승강기)
    시설관리
    (전기시설)
    기술사(건축전기설비, 전기응용, 전기안전, 품질관리, 소방) 기능장(전기)
    기사(전기, 전기공사,산업안전, 품질경영, 승강기, 소방설비<전기>)
    산업기사(전기, 전기공사, 산업안전, 품질경영, 승강기, 소방설비<전기>)
    기능사(전기, 승강기)
    간호조무   간호사  
    토목운영   기술사(토질및기초, 토목품질시험, 토목구조, 항만 및 해안, 도로및공항, 철도, 수자원개발, 상하수도, 농어업토목, 토목시공,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 도시계획, 조경, 지적, 건설안전, 지질 및 지반, 교통)
    기사(건설재료시험, 철도토목, 토목,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 도시계획, 조경, 지적, 건설안전, 응용지질, 교통)
    산업기사(건설재료시험, 철도토목, 토목,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 조경, 지적, 건설안전, 교통)







    건축운영   기술사(건축구조, 건축기계설비, 건축시공, 건축품질시험, 건축전기설비, 건설안전, 소방설비, 소방)
    기사(건축설비, 건축, 실내건축, 건설안전, 소방설비)
    기능장(건축일반시공, 건축목재시공)
    건축사
    산업기사(건축설비, 건축일반시공, 건축, 조적, 건축목공, 목재창호, 실내건축, 건설안전, 소방설비)



    통신운영   기술사(정보통신)
    기사(정보통신, 전파통신, 무선설비, 방송통신, 무선통신, 전자)
    기능장(통신설비, 전자기기)
    산업기사(정보통신, 통신선로, 사무자동화, 전파통신, 무선설비, 무선통신, 방송통신, 전자, 정보처리, 정보기술)
    전기운영   기술사(발송배전, 건축전기설비, 전기응용, 철도신호, 전기철도, 전기안전, 소방설비, 품질관리)
    기사(전기, 전기공사, 철도신호, 전기철도, 산업안전, 소방설비<전기분야>, 품질관리, 승강기)
    기능장(전기공사, 전기기기)
    산업기사(전기, 전기공사, 전기기기, 철도신호, 전기철도, 산업안전, 소방설비<전기분야>, 품질관리, 승강기)



    기계운영   기술사(기계제작, 공조냉동기계, 철도차량, 차량, 건설기계, 기계공정설계, 용접, 금형, 산업기계, 유체기계, 정보통신, 기계안전, 공장관리, 소방설비, 품질관리)
    기사(일반기계, 메카트로닉스, 공조냉동기계, 철도차량, 자동차정비, 자동차검사, 기계공정설계, 치공구설계, 정밀측정, 용접, 프레스금형설계, 사출금형설계, 농업기계, 정보통신, 열관리, 산업안전, 공정관리, 소방설비<기계분야>, 품질관리)
    기능장(기계가공, 에너지관리, 철도차량정비, 자동차정비, 건설기계정비, 용접, 금형제작, 기계정비, 판금제관, 배관)
    산업기사(윤활관리, 컴퓨터응용가공(생산기계, 전산응용가공), 기계가공조립, 메카트로닉스, 생산자동화, 기계설계, 공조냉동기계, 에너지관리, 철도차량, 철도동력차기관정비, 철도동력차전기정비, 객화차정비, 열차조작, 자동차정비, 자동차검사, 건설기계설비, 건설기계정비, 치공구설계, 정밀측정, 계량기계, 계량전기, 계량물리, 용접, 프레스금형, 사출금형, 기계정비, 판금, 제관, 농업기계, 배관설비, 정보통신, 열관리, 산업안전, 공정관리, 소방설비 <기계분야>, 품질관리, 영사)
    화공운영   기술사(화공, 공업화학, 화학장치설비, 화학공장설계, 세라믹, 고분자제품, 화공안전, 가스, 품질관리, 식품)
    기사(공업화학, 화약류제조, 화공, 세라믹, 산업안전, 가스, 품질관리, 식품)
    기능장(위험물관리, 가스)
    산업기사(화공, 공업화학, 화약류 제조, 세라믹, 고분자제품 제조, 위험물관리, 산업안전, 가스, 품질관리, 식품)

    가스운영   기술사(가스, 화학장치설비, 화공안전)
    기사(가스, 화공, 산업안전)
    기능장(가스, 위험물관리)
    산업기사(가스, 위험물관리고분자제품제조)

    선박항해
    운영
    선박기관
    운영
      기술사(선박설계, 선박건조, 선박기계, 기계제작, 산업기계)
    기사(조선, 일반기계, 항로 표지)
    1234급 항해사
    1234급 기관사
    산업기사(조선, 컴퓨터응용가공(생산기계), 항로표지)
    56급 항해사
    56급 기관사
    농림운영   기술사(종자, 산림, 축산, 임산가공, 농화학, 생사, 조경, 식품)
    기사(종자, 산림(산림경영, 산림공학), 임업종묘, 식물보호, 축산, 임산가공, 농화학, 조경, 식품, 생물공학)
    기능장(산림)
    산업기사(종자, 산림, 산림경영, 산림공학, 임업종묘, 식물보호, 축산, 임산가공, 조경, 식품)

    보건운영   기술사(산업위생관리, 대기관리, 수질관리, 소음진동, 폐기물처리, 식품)
    기사(산업위생관리, 대기환경, 수질환경, 소음진동, 폐기물처리, 식품, 방사선 관리)
    위생사, 작업치료사, 방사성동위원소취급자(특수ㆍ일반), 방사선취급감독자,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약사, 수의사,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물리치료사, 치과기공사, 치과위생사, 간호사, 조산사, 의무기록사, 영양사, 임상병리사 1, 응급구조사 1
    산업기사(산업위생관리, 대기환경, 수질환경, 소음진동, 폐기물처리, 식품)
    임상심리사 2, 응급구조사 2











    : 행정직렬의 사회복지사 자격증은 취득 후 직급별로 2년 이상 해당직무에 근무한 경우에 한하여 가점을 부여하고, 해당직무는 여성가족정책실, 복지정책실, 시민건강국, 시립병원의 업무관할로 한정한다.

     

    . 연구사

    계급
    직렬
    연 구 사
    공업연구 기술사(기계제작, 공조냉동기계, 철도차량, 차량, 건설기계, 기계공정설계, 용접, 금형, 산업기계, 유체기계, 금속재료, 표면처리, 금속가공, 철야금, 비철야금, 비파괴검사, 화공, 공업화학, 화학장치설비, 화학공장설계, 세라믹, 고분자제품, 발송배전, 건축전기설비, 전기응용, 철도신호, 전기철도, 공업계측제어, 전자응용, 전자계산기, 정보통신, 선박설계, 선박건조, 선박기계, 항공기관, 항공기체, 방사, 제포, 방적, 생사, 염색가공, 의류, 지하자원개발, 탐사, 지하자원처리, 화약류관리, 전자계산조직응용, 해양, 지질 및 지반, 제품디자인, 원자력발전, 핵연료, 방사선관리, 기계안전, 화공안전, 전기안전, 건설안전, 산업위생관리, 소방설비, 소방, 가스, 공장관리, 품질관리, 포장, 식품)
    기사(일반기계, 메카트로닉스, 공조냉동기계, 철도차량, 자동차정비, 자동차검사, 건설기계설비, 건설기계정비, 기계공정설계, 치공구설계, 정밀측정, 용접, 프레스금형설계, 사출금형설계, 농업기계, 금속재료, 방사선비파괴검사, 초음파비파괴검사, 자기비파괴검사, 침투비파괴검사, 와전류비파괴검사, 누설비파괴검사, 화공, 공업화학, 화약류제조, 화공, 세라믹, 전기, 전기공사, 철도신호, 전기철도, 공업계측제어, 전자, 전자계산기, 반도체설계, 전파통신, 전파전자, 무선통신, 무선설비, 방송통신, 조선, 항공, 방사, 방직, 염색가공, 의류, 지하수, 광산보안, 화약류관리, 전자계산기조직응용, 해양환경, 해양자원개발, 응용지질, 제품디자인, 시각디자인, 컬러리스트, 원자력, 열관리, 산업안전, 건설안전, 산업위생관리, 소방설비, 가스, 공정관리, 품질관리, 포장, 광학, 승강기, 식품, 화학분석)
    보건연구 기술사(식품, 대기관리, 수질관리, 소음진동, 폐기물처리, 산업위생관리, 방사선관리)
    기사(식품, 대기환경, 수질환경, 소음진동, 폐기물처리, 산업위생관리)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수의사, 약사, 한약사, 방사성동위원소취급자(특수ㆍ일반), 방사선취급감독자, 간호사, 조산사,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물리치료사, 치과기공사, 치과위생사, 의무기록작업치료사, 위생사, 영양사
    환경연구 기술사(대기관리, 수질관리, 소음진동, 폐기물처리, 화공, 공업화학, 화학장치설비, 화학공장설계, 고분자제품, 토질 및 기초, 토목품질시험, 토목구조, 수자원개발, 상하수도, 토목시공, 조경, 산림, 농화학, 해양, 화공안전, 산업위생관리, 지질 및 지반, 방사선관리, 기상예보)
    기사(대기환경, 수질환경, 소음진동, 폐기물처리, 화공, 공업화학, 건설재료시험, 토목, 조경, 산림(산림경영, 산림공학), 농화학, 해양환경, 산업위생관리, 응용지질, 기상)
    의사, 수의사, 약사, 위생사
    농촌지도 기술사(종자, 시설원예, 산림, 축산, 임산가공, 농화학, 기계제작, 공조냉동기계, 차량, 건설기계, 기계공정설계, 용접, 금형, 산업기계, 유체기계, 토질 및 기초, 토목품질시험, 토목구조, 수자원개발, 상하수도, 농어업토목, 토목시공,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 생사, 조경, 지적, 기계안전, 건설안전, 식품, 지질 및 지반, 폐기물처리, 염색가공, 의류, 조경, 산업위생관리, 수질관리)
    기사(종자, 시설원예, 산림(산림경영, 산림공학), 임업종묘, 식물보호, 축산, 임산가공, 농화학, 일반기계, 메카트로닉스, 공조냉동기계, 자동차정비, 자동차검사, 건설기계, 건설기계정비, 기계공정설계, 치공구설계, 정밀측정, 용접, 프레스금형설계, 사출금형설계, 농업기계, 건설재료시험, 토목,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 조경, 지적, 산업안전, 건설안전, 식품, 응용지질, 폐기물처리, 생물공학, 유기농업, 섬유물리, 섬유화학, 의류, 조경, 산업위생관리, 수질환경)
    수의사, 청소년지도사, 평생교육사 12, 생산기사 2(1999327일 이전에 취득한 것에 한함)

     

    2. 삭제 <2014.7.31.>

    3. 자격증의 등급별 가점

    구 분 평 정 점
    해당 직렬의 해당 계급 또는 상위계급에서 인정하는 자격증 0.5
    해당 직렬의 바로 하위계급에서 인정하는 자격증 0.25
     
     

    [별표 24] <개정 2019. 5. 30.>

    외국어능력검정시험의 종류와 성적 및 평정점(45조제2항 관련)

     

     

    외국어 어학능력검정시험 성적별 평정점
    0.25 0.15 0.05
    영 어 TOEFL CBT 197점이상 183점이상 197점미만 163점이상 183점미만
    IBT 71점이상 65점이상 71점미만 57점이상 65점미만
    TOEIC 700점이상 640점이상 700점미만 595점이상 640점미만
    TEPS 340점이상 276점이상 340점미만 252점이상 276점미만
    TOSEL
    (ADVANCED)
    565점이상 483점이상 565점미만 373점이상 483점미만
    서울대, 한국외국어대, 부산외국어대 어학능력검정 60점이상 55점이상 60점미만 51점이상 55점미만
    기 타
    외국어
    서울대, 한국외국어대, 부산외국어대 어학능력검정 60점이상 55점이상 60점미만 51점이상 55점미만

    : 1. 위 표의 0.15점 및 0.05점의 가점은 200871일 이후에 획득한 성적부터 평정한다.

    2. 위 표의 어학능력시험 중 한국외국어대(FLEX) 시험 성적은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여 적용한다.

     

     
    728x90
    반응형

    댓글